뉴질랜드는 신세계 와인 생산국 중 가장 늦게 와인을 생산하기 시작했지만 1980년대 수출을 시작한 이래로 세계 11위의 와인 수출국이 되어 현재 주목받는 신흥 와인 생산국이다. 살아있는 자연환경과 풍부한 관광자원을 가진것으로 유명한 뉴질랜드는 청정지역의 느낌이 살아있는 화이트 와인을 주로 생산하고 있다.
역사
뉴질랜드는 남태평양의 섬나라로 싱그러운 천연의 산림과 맑고 개끗한 강으로 청정한 이미지를 지녔다. 뉴질랜드는 약 1천년 전 새로운 땅을 찾아 이주해온 마오리족이 '아오테아로아(Aotearoa) - 긴 하얀 구름의 나라 '로 부르던 곳이다.
뉴질랜드는 가장 늦게 와인을 생산하였기에 와인 역사는 매우 짧다. 1819년 호주에서 건너온 영국인 선교사에 의해 포도 나무가 최초로 심겼고 이로 인해 미사를 위한 포도재배가 시작되었다. 하지만 와인은 만들지 않았다. 이후 1839년 호주에 포도나무를 전파한 '제임스 버즈비'가 최초로 와인을 제조했다. 그러나 병충해, 기술부족, 금주법 등의 당시의 상황으로 인해 아쉽게도 와인 산업은 크게 발달하지 못했다. 금주법 때문에 와이너리는 호텔 이외에는 와인을 판매할 수 없었고 일반 소비자에게 판매는 금지되다가 1960년대부터 레스토랑에서의 와인 판매가 허가되었다.
1980년대 중반까지 자가 수요로서 만족하는 정도의 와인 생산국이었다. 그러나 최근에 재능 있고 교육을 제대로 받은 와인메이커가 혁신적인 방법으로 와인산업을 일으켜 1988년에는 100여 개에 불과하던 와이너리가 1998년에는 300개 가까이 증가했고, 포도밭도 40% 이상 늘어났다. 게다가 1986년부터는 정부에서 주관하여 신품종을 들여오고 있으며, 생산량도 급격하게 늘어나고 있다.
뉴질랜드는 포도생산국가 중 가장 남단에 있다. 이는 화이트 와인 양조에 매우 좋은 자연환경을 가진다. 햇볕이 강하고 해양성 기후를 가져 오스트레일리아보다는 서늘하지만 비교적 온난한 기후이다. 강수량이 많아 곰팡이가 끼는 것이 문제였으나 19세기 후반부터 캐노피 밀도를 낮추는 기술을 도입하여 이를 방지하고 있다.
주요품종
뉴질랜드는 독일과 날씨가 비슷하다. 때문에 1960년대부터 독일 품종인 뮐러투르가우가 심어졌고, 이후 소비뇽 블랑(Sauvignon Blanc), 샤르도네(Chardonnay), 피노 누아(Pinor Noir)가 심어졌다. 이 품종들은 뉴질랜드를 대표하는 세 가지 와인 품종이 되었다. 그 중 소비뇽블랑은 맛이 매우 풍부하고 산도가 강한 편으로 세계 최고 수준으로, 열대 과일향이 가득하고 달콤한 맛과 향기로운 꿀맛이 나는 것으로 유명하다. 독일보다 드라이한 타입의 리슬링, 피노 그리, 게부르츠트라미너도 재배되고 있다.
화이트 와인이 강세여서 샤르도네, 리슬링 등 화이트 품종이 전체 포도밭의 80% 이상을 차지하지만 레드와인으로 카베르네 소비뇽, 시라 ,메를로도 생산한다. 뉴질랜드는 신세계 와인 생산국 중에서 가장 역사가 짧다. 하지만 소비뇽 블랑과 피노 누아로 급격하게 주목을 받고 있는 곳이라고 할 수 있다.
'언니의 취미 > WINE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와인이야기 - 테이블와인 (0) | 2021.11.01 |
---|---|
영국인들이 사랑한 포트 와인 (0) | 2021.10.26 |
와인이야기 - 와인빈티지 (0) | 2021.10.25 |
포도품종 - 셰리(Sherry) (0) | 2021.10.22 |
와인이야기 - 콜키지란? (0) | 2021.10.21 |
댓글